본문 바로가기

기타

용어-PCM

반응형

PCM(Pulse Code Modulation, 펄스 부호 변조)

 

  • PCM 방식이란? 최초로 실용화된 '음성의 디지털 부호화' 및 '다중화 전송'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최초 입력단에 ADC, 최종 출력단에 DAC를 가진다

1. PCM 방식 주요 특징

-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디지털화

  • PCM 방식의 이론적 근거: Sampling Theory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 - A/D 컨버터 참조

- 음성 부호화

  • 최초의 국제 표준 음성 부호화 방식(G.711) 구현

- 시분할 다중화(TDM Multiplexing)

  • 다중화 방식 표준: T1 방식(북미 계열 표준) , E1 방식(유럽계열 표준)

 

2. PCM 디지털화 과정

- 표본화(Sampling) -> 양자화(Quantizing) -> 부호화(Coding)

- 음성신호에 대해 초당 8천번 표본화

- 이 속도는 4kHz 대역폭을 갖는 채널로도 충분히 재생 가능

- 초당 8천개 표본을 8비트 양자화하면 64 kbps 임

-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 진폭 변조)

 

 

출처: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582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maphore & Mutex  (0) 2020.09.10
git  (0) 2020.09.02
SQLD  (0) 2020.09.02
용어 정리  (0) 2020.02.19
WebRTC  (0) 201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