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pring Framework

Spring Project _ Day1

반응형

Spring boot를 활용한 간단한 project를 수행해보려합니다.

CRUD 기본 개념을 활용한 게시판 구현에 대해서 정리를 진행하려합니다.

 

- 로컬 서버에서 구현하는 법

- 원격 서버에 배포하는 법

 

위와 같은 순서로 개발을 진행할 것이며 구체적인 개발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 로컬 PC에서 개발 환경 Setting 

- GitHub 에 개발한 소스코드 배포 (git push)

- 원격 서버(우분투 서버)에서 빌드한 코드를 배포할 예정 (git pull)

 

1. 개발환경 Setting

- DevTools

- Mustache

- Web 

선택한 Spring boot Project 생성

 

이렇게 설정한 부분은 pom.xml에 설정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pring boot를 활용하면 좌측 하단의 boot dashboard에 local 서버를 볼 수 있는데 이를 구동하면 default로 설정된 8080포트에서 서버를 구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동작시킨 결과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이런 에러 메시지를 저는 받았습니다. 아마도 톰캣 서버가 이미 8080 포트를 사용 중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해결 방법은, src/main/resources 디렉토리 하단의 application.properties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삽입하는 것입니다.

이때, 8090대신 원하는 포트 번호를 입력하셔도 됩니다.

 

포트번호 변경까지 끝났다면 재시작하여 locahost:8090에 접속합니다. 

접속시, 아래와 같은 최초의 화면이 보였다면 정상적으로 동작 완료된 것입니다.

Spring-boot boot dash board 동작 시 뜨는 화면

 

이 페이지는 아무것도 설정한 페이지가 없기 때문에 뜨는 화면으로 최초의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해 

src/main/resources/static 디렉토리 아래에 index.html을 추가해주고 'hello world!'를 찍어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처리해준 뒤, index.html에서 확인해보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ndex.html 이 동작한 모습

 

 

 

이렇게 작성한 뒤 수정사항이 발생하면 새로고침을 통해 확인을 해야합니다. 

그런데, 매번하기 귀찮으므로 LiveReload라는 chrome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enable시켜줍니다. 

사실 상단의 이미지는 LiveReload가 활성화된 화면입니다.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이런 방식이 가능한 이유는 저희가 처음 Spring-Boot 프로젝트를 만들 때 Dev-Tools를 dependency로 추가 선택하여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pom.xml

 

반응형

'Java > Spring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VC로 RESTful API 서비스 구현  (0) 2020.03.04
Spring 개발 환경 설정  (0) 2020.03.03
Framework란 2 -Spring boot 기초  (0) 2020.03.03
Framework란  (0) 2020.01.06
Spring Project _ Day2(github에 코드 올리기)  (0) 2019.12.25